본문 바로가기

노인간호학13

치매의 증상 치매의 일차적 증상은 뇌 신경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기억력 장애 등 신경 인지 기능장애이지만 이차적으로 행동장애, 수면장애, 인격의 변화, 망상, 환각 등의 정신과적 이차 증상도 동반된다. 그 밖에도 신경인지 기능장애와 정신장애로 인하여 독자적으로 일상생활을 관리하지 못한다. 인지 기능장애에는 기억장애, 지남력 상실, 주의력 장애, 언어장애, 실행증, 실인증, 시공간 기능장애, 전두엽의 실행 기능장애 등이 있다. 기억장애는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특히 대뇌피질의 이상에 의한 치매의 경우 초기부터 나타난다.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는 능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대부분 최근 기억부터 감퇴한다. 그러나 초기 증상은 건강한 노인에게 발생하는 건망증상과 유사하여 감별하기가 쉽지 않다. 지남력은 기억력과 주의력에 의존.. 2022. 9. 18.
치매 노인의 지각 및 인지 기능 전반에 걸쳐 심각한 장애를 보이는 질환이 치매다. 치매란 용어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의 뜻은 제정신이 아님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치매의 뜻은 하나의 질병이 아니라 여러 원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증후군을 일컬어 말한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 분류에 의하면 치매는 '뇌의 만성, 또는 진행성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증후군으로, 이로 인한 기억력, 사고력, 이해력, 계산력, 학습 능력, 언어 및 판단력 등을 포함하는 뇌 기능의 다발성 장애로 정의되어 있다. 이전에 정상적인 지적 능력을 유지해오던 사람이 후천적인 뇌 질환으로 인한 점진적인 기억력 장애 및 다른 지적 능력의 상실로 더 이상 통상적인 사회생활이나 직업적인 업무수행 또는 대인관계 등을 적절히 .. 2022. 9. 18.
노인 우울 우울은 정상적인 노화로 초래되는 경과가 아니다. 노년기 우울은 괴로움과 고통의 원인이 되며, 이것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우울은 유병률 및 사망률과 관련됨에도 불구하고, 흔히 노인 우울은 진단되지도 않고 치료되지도 않고 있다. 노인 대상자에서 정신과적 문제는 몇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진단을 내리기 어렵기 때문이다. 첫째, 노인 대상자들은 여러 질환을 함께 가지고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우울의 징후와 증상이 여러 가지 내과 질환의 징후와 증상 등과 중복될 수 있다. 둘째, 내과적 및 신경학적 장애가 우울을 초래할 수 있다. 셋째, 노인 대상자들은 많은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데, 그중 어떤 것은 우울의 원인이 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넷째, 노인 환자는 심리적.. 2022. 9. 18.
노인 간호와 복지 노인복지정책은 노인의 사회생활의 기본적 욕구 충족을 사회적으로 보장하는 일반적 대책으로서 노인을 위한 사회정책이다. 노인복지를 위한 정책적 접근 방법이란 각종 노인 문제 발생의 원인이 노인 개인이 아닌 사회 구조적인 모순에 있다는 인식 아래 국가나 사회가 주체가 되어 대응책을 강구하는 것을 말한다. 즉, 노인이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욕구에 대응하여 사후 대책 적인 복지 기능을 수행하거나 사전 예방적인 복지 기능을 국가의 책임 아래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노인복지 역시 다른 사회복지 영역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여건과 국가정책의 흐름과 상관있다. 노인복지정책의 목표는 국민적 최저수준의 생활 유지, 사회적 통합, 개인의 성장 욕구 충족이다. 노인복지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타당성은 경제적 타당성, 심리·.. 2022. 9. 18.